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홈
단체소개
소개
조직
회원자격
공지사항
활동자료
정관 및 규정
정관
규정 제1호(인권)
규정 제2호(윤리)
규정 제3호(가입)
규정 제4호(재정)
규정 제5호(명의)
규정 제6호(사업)
규정 제7호(연대)
규정 제8호(조의)
규정 제9호(운영)
규정 제10호(선거)
사업
창작활동
인권옹호와 사회연대
신진양성
역량개발
회원
회원명단
가입절차
회원가입 신청서
굿즈
회원전용
회원전용게시판
운영위원회 (4기)
사업시행투표
정보공개 게시판
자료실
소모임
세상을 여는 숲
이달의 스프
어린이청소년SF 연구회
나의 과학소설
나의 과학소설
나의 과학소설(번역)
탈회 신청서
문의
English
日本語
Chinese
닫기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SFWUK
홈
단체소개
사업
회원
굿즈
회원전용
문의
English
日本語
Chinese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SFWUK
홈
단체소개
소개
조직
회원자격
공지사항
활동자료
정관 및 규정
정관
규정 제1호(인권)
규정 제2호(윤리)
규정 제3호(가입)
규정 제4호(재정)
규정 제5호(명의)
규정 제6호(사업)
규정 제7호(연대)
규정 제8호(조의)
규정 제9호(운영)
규정 제10호(선거)
사업
창작활동
인권옹호와 사회연대
신진양성
역량개발
회원
회원명단
가입절차
회원가입 신청서
굿즈
회원전용
회원전용게시판
운영위원회 (4기)
사업시행투표
정보공개 게시판
자료실
소모임
세상을 여는 숲
이달의 스프
어린이청소년SF 연구회
나의 과학소설
나의 과학소설
나의 과학소설(번역)
탈회 신청서
문의
English
日本語
Chinese
MENU
로그인
회원가입
MENU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SFWUK
회원 명단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의 회원들을 소개합니다
회원 소개
74
검색
공지
김건규 (Gungyu KIM)
1992년생으로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평소에 머릿속에서 떠오르는 이야기가 많았다. 이 이야기들을 공상으로 끝내기에는 아쉬워 군대 전역 후 소설을 써보자고 결심했다. 국회가 있는 여
공지
청예 (Cheong YE)
청예는 발랄하고 꼭짓점이 솟아있는 글을 쓴다. 제6회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분야 대상, K스토리 공모전 1회와 2회에서 연달아 최우수상을 받았다. 그 외 2021년 교보문고 스토리공
공지
지동섭 (Dongseob JI)
지동섭은 인류의 역사를 도구의 소재에 따라 구분한다는 점에 흥미를 느끼고 사회의 원동력이 될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고자 신소재공학과에 진학했다. 곁가지로 문학 이론 또한 공부했다.
공지
이하진 (Hajin LEE)
학부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이자 SF 소설가. 2021년 제1회 포스텍 SF 어워드에서 〈어떤 사람의 연속성〉으로 대상을 수상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연이어 2
공지
민지형 (Ji Hyoung MIN)
민지형은 소설, 드라마 대본, 영화 시나리오 등 매체를 가리지 않고 활동하는 작가다. 풍자와 해학, 블랙코미디를 즐기며 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여성들의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대학에
공지
정세랑 (Serang CHUNG)
정세랑은 역사와 문학을 전공했다. 편집자로 시집과 문학잡지를 만들다가, 2010년 《판타스틱》에 〈드림, 드림, 드림〉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SF에서 역사소설까지 다채로
공지
문지혁 (Ji Hyuck MOON)
열 두 살에 쓴 생애 첫 소설이 지구에 불시착한 우주선 이야기를 다룬 SF였다. 이후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과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을 읽으며 작가의 꿈을 키웠고, 영
공지
박지안 (Jian PARK)
순수문학을 전공하면서도 미스터리·추리·공포·SF 등의 다양한 장르문학을 탐독했다. 먹고 살기 바쁜 우울한 30대를 맞이할 때쯤 SF와 심리스릴
공지
정재은 (Jae eun CHUNG)
정재은은 어느 날 미국 보스턴 시내 공원 연못을 떠다니는 스완보트 위에서 글을 쓰기로 마음을 먹고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다. 그때 쓴 동화 〈아바타 학교〉가 2005년 과학기술창작문
공지
박애진 (AeJina PARK)
박애진은 과학소설, 판타지, 스릴러, 청소년 소설을 쓰는 작가로 사랑받지 못한 아이들, 소녀, 파괴와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쓴다. 동양 고전 소설을 SF로 치환해 쓰는 것도
공지
전혜진 (Heyjin JEON)
전혜진은 수학과 기계공학, 컴퓨터과학을 공부했지만 딱히 전공을 살리진 못했다. 오히려 중고등학교 때 읽었던 한국 순정만화 및 일본만화의 영향을 받아 연습장 만화와 소설을 쓰기 시작
공지
오정연 (JungYun OH)
2017년 제2회 과학문학상 중단편 가작 <마지막 로그>로 데뷔했다. 안락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드로이드와 주인공 사이의 교감과 변화에 관한 이야기이다. 학부에서 미학을
공지
서애라 (Era SEO)
열 살 무렵 범죄소설을 끄적여 엄마를 걱정시켰다. 정신건강 상태를 의심받지 않기 위해 그 후로는 시를 썼다. 성인이 된 후로 출판편집자, 글쓰기 지도교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
공지
정소연 (Soyeon JEONG)
정소연은 사회복지학, 철학, 법학을 전공했다. 번역가로 《어둠의 속도》, 《화성아이, 지구 입양기》, 《루나》 등을 번역했다. 지금은 국제인권 및 노동 분야 변호사로 활동하는 동시
공지
황성식 (Sungsik HWANG)
1980~90년대 헐리우드 영화의 수혜를 입고 성장했다. 한국영화 르네상스에 자극받아 단편영화를 만들고 시나리오를 쓰며 이야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CJ문화재단의
공지
이성탄 (Sungtan LEE)
추리와 SF는 천재가 아닌 노력으로도 쓸 수 있는 장르라는 철학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재미있는 과학 수수께끼를 만든다. '사회문제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이 잘 벼린 칼과 같다
공지
이선 (Sun LEE)
청소년 SF 장편소설인 《우리 집 뒤는 세상의 끝》으로 2013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원작소설 창작과정에 선정되었다. 2017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스토리작가 데뷔 프로그램 우수작으로
공지
이산화 (Sanhwa LEE)
아마 친척의 선물이었을 오래 된 과학책 전집들에 둘러싸여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나도 한 번 만들어보자 싶어서 이면지에 끼적인 책이 첫 창작물이었다고 기억한다. 그 이후로도 줄곧
Previous
1
2
3
4
5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