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홈
단체소개
소개
조직
회원자격
공지사항
활동자료
정관 및 규정
정관
규정 제1호(인권)
규정 제2호(윤리)
규정 제3호(가입)
규정 제4호(재정)
규정 제5호(명의)
규정 제6호(사업)
규정 제7호(연대)
규정 제8호(조의)
규정 제9호(운영)
규정 제10호(선거)
사업
창작활동
인권옹호와 사회연대
신진양성
역량개발
회원
회원명단
가입절차
회원가입 신청서
굿즈
회원전용
회원전용게시판
운영위원회 게시판
사업시행투표
정보공개 게시판
자료실
소모임
세상을 여는 숲 (4기)
세상을 여는 숲
이달의 스프
동화 읽기 소모임
나의 과학소설
나의 과학소설(2023)
나의 과학소설(2022)
나의 과학소설(2021)
나의 과학소설(2020)
나의 과학소설(2019)
나의 과학소설(~2018)
나의 과학소설(번역)
탈회 신청서
문의
English
日本語
Chinese
닫기
사이트 로고
홈
단체소개
소개
조직
회원자격
공지사항
활동자료
정관 및 규정
정관
규정 제1호(인권)
규정 제2호(윤리)
규정 제3호(가입)
규정 제4호(재정)
규정 제5호(명의)
규정 제6호(사업)
규정 제7호(연대)
규정 제8호(조의)
규정 제9호(운영)
규정 제10호(선거)
사업
창작활동
인권옹호와 사회연대
신진양성
역량개발
회원
회원명단
가입절차
회원가입 신청서
굿즈
회원전용
회원전용게시판
운영위원회 게시판
사업시행투표
정보공개 게시판
자료실
소모임
세상을 여는 숲 (4기)
세상을 여는 숲
이달의 스프
동화 읽기 소모임
나의 과학소설
나의 과학소설(2023)
나의 과학소설(2022)
나의 과학소설(2021)
나의 과학소설(2020)
나의 과학소설(2019)
나의 과학소설(~2018)
나의 과학소설(번역)
탈회 신청서
문의
English
日本語
Chinese
로그인
회원가입
MENU
사이트 로고
회원 명단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의 회원들을 소개합니다
회원 명단
64
검색
공지
정소연 (Soyeon JEONG)
정소연은 사회복지학, 철학, 법학을 전공했다. 번역가로 《어둠의 속도》, 《화성아이, 지구 입양기》, 《루나》 등을 번역했다. 지금은 국제인권 및 노동 분야 변호사로 활동하는 동시
공지
황성식 (Sungsik HWANG)
1980~90년대 헐리우드 영화의 수혜를 입고 성장했다. 한국영화 르네상스에 자극받아 단편영화를 만들고 시나리오를 쓰며 이야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CJ문화재단의
공지
최의택 (Uitaek CHOI)
SF가 선사하는 특유의 경이감을 두려움으로 착각한 어린 시절의 최의택, 그는 너무나 늦게 그 진면목을 깨달았고, 그래서 더 열정적으로 SF 세계를 탐험 중이다. 국내의 현대 SF를
공지
지동섭 (Dongseob JI)
지동섭은 인류의 역사를 도구의 소재에 따라 구분한다는 점에 흥미를 느끼고 사회의 원동력이 될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고자 신소재공학과에 진학했다. 곁가지로 문학 이론 또한 공부했다.
공지
전혜진 (Heyjin JEON)
전혜진은 수학과 기계공학, 컴퓨터과학을 공부했지만 딱히 전공을 살리진 못했다. 오히려 중고등학교 때 읽었던 한국 순정만화 및 일본만화의 영향을 받아 연습장 만화와 소설을 쓰기 시작
공지
이성탄 (Sungtan LEE)
추리와 SF는 천재가 아닌 노력으로도 쓸 수 있는 장르라는 철학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재미있는 과학 수수께끼를 만든다. '사회문제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이 잘 벼린 칼과 같다
공지
이선 (Sun LEE)
청소년 SF 장편소설인 《우리 집 뒤는 세상의 끝》으로 2013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원작소설 창작과정에 선정되었다. 2017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스토리작가 데뷔 프로그램 우수작으로
공지
이산화 (Sanhwa LEE)
아마 친척의 선물이었을 오래 된 과학책 전집들에 둘러싸여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나도 한 번 만들어보자 싶어서 이면지에 끼적인 책이 첫 창작물이었다고 기억한다. 그 이후로도 줄곧
공지
이경희 (Kyung Hee LEE)
SF와 판타지의 팬보이로 10대를 보내며 이윽고 작가를 꿈꾸게 되었다. 80~90년대 걸작 애니메이션과 만화들, 스타트렉 에피소드들, 톨킨과 이영도, 르귄과 젤라즈니, 알프레드 베
공지
이건해 (Gunhae LEE)
보드게임을 즐기다 못해 메모선장이라는 필명으로 리뷰도 쓰고 크라우드 펀딩으로 보드게임을 만들기도 하고 팟캐스트도 제작하고 보드게임 앱 매거진 ‘매거진 다이스’
공지
유진상 (Jin Sang YU)
1993년 서울 출생. 명지전문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우주선에서 연극을 공연하는 스페이스 오페라 〈그 이름, 찬란〉으로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 가작을 수상했다. 조선으로 간 로
공지
오정연 (JungYun OH)
2017년 제2회 과학문학상 중단편 가작 〈마지막 로그〉로 데뷔했다. 안락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드로이드와 주인공이 주고받는 교감과 변화에 관한 이야기이다. 20대 후반부터 여러가
공지
연여름 (Summer YEON)
연여름은 영화학교에서 연출과 시나리오를 공부했다. 영화를 사랑하다 스티븐 킹을 알았고, 스티븐 킹을 읽다 장르소설에 입문했으며, 그의 번역서가 출간된 출판사의 다른 책들에 관심을
공지
배지훈 (Jihoon BAE)
배지훈은 하이텔 과학소설동호회에서 활동하며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첫 작품에 친절하면서도 잔인무도한 비평을 받고 조금 진지하게 써보자고 시작한 것이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2005년
공지
배명훈 (Myung-hoon BAE)
읽고 쓸 줄 알게 되었을 때부터 글쓰기를 좋아했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국제정치학을 공부하면서 점점 더 거시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는데, 그런 관점에서 쓴 소설이 자연스럽게 SF
공지
박애진 (AeJina PARK)
박애진은 과학소설, 판타지, 스릴러, 청소년 소설을 쓰는 작가로 사랑받지 못한 아이들, 소녀, 파괴와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쓴다. 동양 고전 소설을 SF로 치환해 쓰는 것도
공지
민이안 (Ian MIN)
어린 시절, 책장 첫 번째 칸에 꽂혀있던 과학도서전집을 읽으며 공룡, 우주, 곤충, 심해 등에 푹 빠져 살았다. 인간을 싫어했던 것은 아니지만, 인간이 아닌 것들을 훨씬 좋아했다.
공지
문지혁 (Ji Hyuck MOON)
열두 살에 쓴 생애 첫 소설이 지구에 불시착한 우주선 이야기를 다룬 SF였다. 이후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과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을 읽으며 작가의 꿈을 키웠고, 영문
공지
길상효 (Sanghyo KIL)
동화보다 생물도감, 과학책을 더 많이 읽으며 자랐다. 상황극을 써서 녹음하며 놀고 학예회 연극 극본을 도맡았다. 중2부터 영화를 보며 내용과 인물에 대한 분석을 빼곡이 정리했고,
공지
남유하 (Youha NAM)
일어나지 않은 일, 어쩌면 일어날 수도 있는 일에 대해 상상하기를 좋아한다. 지은 책으로는 소설집 《다이웰 주식회사》, 《양꼬치의 기쁨》과 창작동화집 《나무가 된 아이》, SF 동
공지
남세오 (Seoh NAM)
평범한 연구원으로 살아가던 어느 날 문득 글을 쓰게 되었다. 언제 다시 닫힐지 모르는 주머니에서 허겁지겁 이야기들을 끄집어내 서툴게 다듬고 있다. 대부분의 작업을 작가 혼자 수행하
공지
김현재 (Hyun-Jae KIM)
어려서는 주로 전집류 동화, 과학 만화, 아동문학 등을 읽었고 당연히 공룡을 사랑했으며, 더빙판 만화영화와 외화를 챙겨 봤고 《보물섬》을 취학 직전부터 중1까지 7년 간 구독했다.
공지
김초엽 (Choyeop KIM)
김초엽은 독서와 글쓰기를 좋아하던 중학교 시절, 과학 논픽션 책들이 그려내는 세계에 반해 진로를 결정했다. 대학에서는 화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단백질 센서를 연구했다. 2017년
공지
김정혜진 (Hyejin Kim Jeong)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연극학을 전공했다. 친구들과 극단을 만들어 활동했다. 공연담당 기자, 대안학교 연극교사 등을 거치며 글을 쓰다 2011년 〈소녀들이 사라져간다〉로 플랫폼공연비평
Previous
1
2
3
Next